강화
-
강화의 악영향 - 2부 : 내재적 강화, 최소 강제의 원리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36
그럼 강화가 좋다는거야 안좋다는거야? 이쯤 되면 헷갈릴거야 @.@;; 행동이 강화 될 때는 내재적 동기에 의해서야 된다고 하지만.. 내재적 강화와 외재적 강화를 어떻게 구분할까? 또, 강화는 효과는 언제 해로울까? 강화를 쓰라는거야 말라는거야? @.@;; 앞서의 실험들을 기억해 볼게. 그림 그리는 아이들의 실험을 다시 생각해 보면, 실험자들은 맨 처음에 아이들을 놀이방에 그냥 풀어 놓았어. 그럴 필요가 있었을까? 단지 그림 그리는 행동에 대해 관찰을 하려면 그냥 전부다 그림 그리게 시키면 되는건데.. 왜 굳이 그 중에서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들만 골라서 실험을 한 걸까? 이전 실험의 핵심이 여기에 있어. 실험에 참가한 아이들은 이미 그림 그리는 것에 대한 내재적 흥미도가 높았던 아이들이지. 그림..
-
강화의 악영향 - 1부 : 내적 동기의 훼손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33
이 블로그에 하도 우렁차게 강화의 좋은 점들만 써 놓은거 같아서.. 오늘은 강화를 까볼려고 해!! 물론 강화가 행동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데 직빵이긴 해. 그렇다면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강화 원리로 가득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잖아. 우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단순히 보상을 통해 만족을 얻고 그걸로 끝나지 않아. 온갖 잡생을 다 할 수 있지! 책에는 여러가지 강화의 악영향들이 나열되어 있을거야. 하지만 여긴 내 블로그니까 내가 생각하는 강화의 최고 악영향 부터 말해 볼게. 1. 내적 동기의 훼손 나는 어렸을 때 부터 취미로 웹 디자인을 했는데.. 취미로 10년정도 하다보니까 어느정도 실력이 늘어서 이 짓으로 돈도 벌 수도 있게 되었어. 실제로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서 일도 해보고 카페 같은데 알바 하면 거기 홈페..
-
강화계획의 활용 - 2부 : 인간 학습에 대한 함축성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30
재소자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쥐나 비둘기 같은 동물에게 적용되던 학습 원리들이 인간에게도 해당이 될까? 란 질문에 답을 찾아보려 했어. 다음의 사례 또한 이 질문의 답에 다가갈 수 있는 사례가 될거야. 잠깐 옛날에 배운걸 기억해 볼게. 강화에서는 아주 짧은 지연(보상물을 늦게 제공하는 것)이라도 해당 학습에 대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배웠지? 쥐들 찍찍 비둘기 구구 하는것들 배우면서 말야.. 그런데 인간은 어떨까? 나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모두 맞벌이를 하시느라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았는데, 엄마 아빠가 안계실 때 방 청소를 했던 기억이 있어. (많진 않지만.. ㅋㅋ) 그럴때 마다 일 다녀오신 어머니는 "우리 아들 청소해놨네 착하네!" 하곤 칭찬을 해주셨는데, 이런 어머니의 칭찬은 어린 나..
-
강화와 처벌 - 2부 : 지연과 2차 강화물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23
1부에서는 강화의 기본적 내용과 강화물, 만족에 대해 배웠으니까 이번 글에서는 강화와 시간(지연)에 대한 관계를 알아볼게. (티아라 지연 아님) 복습해보면, 강화는 어떤 행동을 조성하기 위해 특정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강화물을 제시하여 행동 확률을 높이는 것인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제시'에 있어. 보상을 언제 줘야 될까? 바로? 나중에? 잠시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을 기억해 볼게. 종->밥->침 기억나지? 종치고 밥주면 침흘리는거.. 여기서 종치고 밥을 언제줄까? 만약 종을 친 직후 밥을 바로 주지 않고 한 참 뒤에 밥을 주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종과 밥의 연합이 약해질 것이라고 쉽게 추측할 수 있어. 맞아. 종을 친 시간과 밥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길면 길 수록 종에대한 침흘리는 반응은 ..
-
강화와 처벌 - 1부 : 강화, 처벌 그리고 소거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18
'강화强化:Reinforce' 란 말 많이 들어봤지? 온라인 게임을 해본 사람들은 진짜 많이 들어봤을거야. 아이템을 강화해서 더 강하게 만드는거 많이 해봤지? 이번에 다룰 강화도 비슷한 맥락이야. 강화에 대한 이야기에 앞서 Thorndike의 고양이 실험을 떠올려 봐. 고양이의 행동을 반복 시키기 위해서는 어떤게 필요하지? 고양이가 만족할 만한 보상! 그런데.. '만족滿足:Satisfaction'이 뭐야? 만약 생선을 싫어하는 고양이가 있다면? 생선으로 만족이 될까? 만족이 뭐야? 심리학자들은 이 너무나 주관적 용어를 가지고 Thorndike에게 딴지를 걸기 시작했어. 우리가 신도 아니고 고양이의 생각을 읽을 수가 없는데 고양이가 만족하는지 어떻게 알겠어? 하지만 고양이의 행동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우..
-
조작적 조건형성 - 스키너 상자 Skinner Box김학성의 심리학 이야기 2019. 5. 28. 16:02
심리학자들은 왜이렇게 상자를 좋아할까? Pavlov도 크게 보면 각종 예외 변수를 통제 하기 위한 '하나의 방'에서 실험을 했고. Thorndike도 고양이를 '문제 상자'에 넣어서 실험을 했어. Skinner는 어떨까? 미국에서 태어난 Skinner의 심리학 뿌리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아버지 J.B. Watson에게 있어. 당대 최고의 심리학자 였던 Watson의 책을 읽고 심리학에 입문하게 되었으니까 말야. Watson을 이어서 Skinner도 행동주의 심리학의 최고가 돼. 이번 글에서는 그의 가장 유명한 실험이었던 스키너 상자, Skinner Box 실험을 볼거야. 내가 이 글을 쓰기 위해 인터넷에서 자료도 많이 찾아보고 책도 많이 뒤져보았는데.. 자료가 의외로 무지 적었어.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